원래 경성의 전통 도로망은 광화문에서 황토현 광장(광화문 사거리)의 길과 서대문 ~ 종로의 길이 만나는 T자형 도로를 중심으로 자연 주거지를 따라 형성된 미로 형태의 자잘한 길들이 뒤섞여 있었답니다.(모던의 유혹, 모던의 눈물, p94) 이에 조선 총독부는 1912년 10월 시구 개정에 대한 훈령을 내고 11월에는 광화문-광화문 네거리, 남대문-남대문 정거장, 동대문-경희궁 등 시구 개수 예정 노선 31개소를 발표해 시내 31개 노선의 정비 확장 사업을 1929년까지 추진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구 개정 사업을 통해 경성에 생긴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교통체증을 이유로 남대문 성곽을 헐고 광화문-경성부청(지금의 시청) 사이의 태평로를 넓히고, 남대문 정거장(경성역)과 용산으로 연결되는 큰 도로와 이어붙여 경..
백과사전
2007. 12. 6. 12: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건담
- 보르코시건
- 하인라인
- 콘티
- 독서
- 광고
- 만화
- 영화
- 1년전쟁
- 애니메이션
- 총몽
- 마징가Z
- 판타스틱
- 극장판
- 애니
- 그래픽노블
- 에반게리온
- SF
- 작안의 샤나
- 배트맨
- 케로로
- 인물과사상
- 스타트렉
- 엉클덕
- 스타워즈
- 니시오 이신
- 도라에몽
- 파워레인저
- 존 스칼지
- 장난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