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점점 조자룡 씨네 헌칼이 되어가는 '빅데이터' 대한 올바른 예제이자. 논문을 대중서로 번역할 참고할만한 올바른 표본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을 기억할 있게 되면 그것을 되풀이하는 데에서도 벗어날 있을까요?

 

억압과 검열에서 헬렌 켈러의 예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헬렌 켈러는 나치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검열받고 지워진 여성이기 때문입니다. 설리번 선생과의 어린 시절 에피소드 이외에 교육자와 사회주의 운동가로서의 활동은 제대로 알려진 없지요. 한국어판 엔그램이 있다면 한번 살펴 봤을 겁니다.

 

또한, baby sitter 만남은 매우 흥미로운 데이터입니. 그러나 받고 보는 사람의 역사는 20세기 중반보다는 깊지요. 유모라는 젖을 매개로 계급 피라미드의 잔혹사를 빼고 받고 보는 사람과 아기를 하늘이 맺어준 짝이라 부르기에는 흘린 영혼이 너무 많습니다.

 

 

 

 

엔그램에 유모와 베이비시터를 넣어 보았는데요. 산업혁명과 겹치는 유모의 증가와 20세기 중반, 베이비 시터의 갑작스러운 출현을 데이터는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질문의 답은 다른 방법으로 찾아야 되겠지요.

 

그래요. 올바른 결과는 올바른 연구방법이 있어야 도출할 있습니다. 빅데이터가 있든 없든. 이게 오늘의 교훈입니다.

 

 

 

 

빅데이터 인문학 : 진격의 서막 - 8점
에레즈 에이든 외 지음, 김재중 옮김/사계절

 

 

 

 

 

 

 

 

 

추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간 분석 중에서 흥미로운 것은 뭐니뭐니해도 책이죠. ㅋㅋ

          [책] 포르노 보는 남자, 로맨스 읽는 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