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이 료코를 처음 접한 것은 만화전문서점 북새통의 매대였습니다. 이라는 특이한 제목에 '한번 사 볼까'라는 생각이 들어 읽게 되었습니다. (오프서점의 장점이지요) 은 예쁜 표지 때문에 골랐습니다. 이 때까지도 의 작가와 의 작가 동일 인물인 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의 작가인 쿠이 료코의 다른 단편집 를 사게되고, 이렇게 까지 달려오게 되었네요. 이런 식으로 전작품을 모두 사게 되다니... 쿠이 료코의 작품이 취향에 맞는가 봅니다. 비일상적인 동화나 전설의 다른 결말, 혹은 다른 각도에서 본 이야기. 이야기가 끝난 다음의 이야기. 의외로 디테일한 비일상적인 일상과 그런 이야기 속에 숨은 감정선의 섬세함은 무심한 듯한 그림선과 어우러져 독특한 작품 세계를 만들어 냅니다. 차별을 큰소리로 지적하지는 않..
70년대. 소년중앙의 세계는 크고 넓었습니다. 미국은 우주시대였고, 일본에서 열린다는 것을 밝힐 수는 없었지만 태양의 탑만 빼고 소개된 오사카 만박은 한국의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나중에 밝혀질 열패감의 씨앗을 심어 놓고 있었지요. 아무튼. 한국에서 태어난 20세기 소년도 우주는 언젠가는 가보고 싶은 꿈의 그 무엇입니다. 휴스턴 57년간의 기록이라니 숨막히는 추억을 위해 지를 수 밖에 없는 화보집이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책을 받아보기 전까지는요. 모니터와 책을 구분 못하는 편집 디자이너가 만든 참상입니다. 책 크기가 작으면 작은 데로 레이아웃을 잡았어야 할 텐데, 그냥 이렇게 책을 만들고 말았습니다. 거의 모든 큰사진들의 페이지가 이 모양입니다. 18. 절대 사지마세요. 우주 감각 : NA..
90년대. 모던은 포스트했고, 신체는 주목 받기 시작했으며 적폐는 뚜렷했다. 창작과 비평은 그만됐고, 문학에 동네가 만들어진 90년대. 문학은 문화의 최전선에 서 있었으며 그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었다. 요컨대. 풍요로운 시대였다. 21세기. 격월간 문학잡지 '문학하는 사람'. 릿터는 지금, 문학하는 사람들의 처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대중을 압도할. 어떤 의미에서도 이해할 수는 없지만 기는 질리게할 이론 같은 멋진 아이템이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든 세상을 해석하고 재현할 수 있는 자는 우리뿐이라는 '자임'. 이름을 부를 수 없는 그분의 표절이 들통 난 이후 '한국문학(장)을 지탱하던 문학 질서가 탈은폐되면서'에서 괄호 안의 장과 탈은폐라는 단어 속에 담긴 '비열함'. 디자인 뒤에 숨어 뒤쳐진 것..
- Total
- Today
- Yesterday
- 배트맨
- 만화
- 콘티
- 극장판
- 인물과사상
- 케로로
- 작안의 샤나
- 건담
- 니시오 이신
- 파워레인저
- 애니메이션
- 광고
- 존 스칼지
- SF
- 하인라인
- 보르코시건
- 그래픽노블
- 에반게리온
- 마징가Z
- 총몽
- 도라에몽
- 스타워즈
- 애니
- 영화
- 1년전쟁
- 판타스틱
- 스타트렉
- 엉클덕
- 독서
- 장난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